경제뉴스

방시혁 4000억 챙겼다, 상장 당시 비밀계약 진실은?

퐁당파파 2024. 11. 29. 14:08
반응형

하이브의 창업자 방시혁 의장이 2020년 하이브 상장 당시 약 4000억 원의 추가 이익을 챙긴 것으로 밝혀지며, 관련 논란이 뜨겁습니다. 이 사건의 배경과 사모펀드(PEF)와의 비공개 계약, 그리고 그로 인한 투자자 피해와 논란의 핵심을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하이브 상장, 화려한 시작과 그 이면

하이브의 성공적인 IPO

 

2020년 10월, 방탄소년단(BTS)의 성공을 기반으로 한 하이브(구 빅히트 엔터테인먼트)는 코스피 시장에 상장하며 엄청난 화제를 모았습니다.

  • 공모가: 주당 13만 5000원
  • 상장 첫날: 공모가의 두 배로 시작해 상한가(35만 1000원)를 기록
  • 시가총액: 단숨에 11조 원을 돌파

그러나 상장 직후 하이브의 주가는 급격히 하락했고, 상장 뒤 한 주일 만에 15만 원대로 떨어지며 투자자들의 우려를 샀습니다.

 

방시혁-하이브의장-하이브사옥.webp
방시혁 하이브 의장, 하이브 사옥[한경코리아마켓 제공]

 

  IPO란? 

 

Initial Public Offering의 약자로, 기업이 처음으로 주식을 일반 대중에게 공개하고 거래를 시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주식 시장에 상장되며, 자본을 조달하고 더 큰 성장 기회를 얻습니다.

 

 

사모펀드와의 비공개 계약: 4000억 원의 진실

계약의 주요 내용

 

방시혁 의장은 하이브 상장 전 스틱인베스트먼트, 이스톤에쿼티파트너스, 뉴메인에쿼티 등 주요 사모펀드(PEF)들과 비공개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 계약의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PEF 차익 분배: 상장 후 매각 차익의 약 30%를 방 의장에게 지급.
  • IPO 실패 시 보상: 방 의장이 지분을 되사는 조건 포함.

이 계약으로 인해 방 의장은 약 4000억 원의 추가 이익을 챙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러나 이 계약 내용은 IPO 과정에서 일반 투자자들에게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PEF란? 

 

Private Equity Fund의 약자로, 사모펀드를 뜻합니다. 이는 소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집하여 비상장 기업 또는 상장 기업의 경영권을 확보하거나 기업 가치를 높인 후, 투자자에게 높은 수익을 반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투자 펀드입니다.

 

하이브-상장-주식급락-4000억.webp
상장당시 주식급락[한경코리아마켓 제공]

 

투자자 피해와 주가 하락의 원인

보호예수가 없는 지분 매도

 

상장 직후 PEF들이 보호예수가 걸리지 않은 지분을 대량 매도하면서 주가 하락이 가속화되었습니다.

  • PEF 매도 규모: 상장 나흘 동안 약 4258억 원 상당의 지분이 시장에 쏟아졌습니다.
  • 결과: 주가는 상장 첫날 최고가 대비 약 60% 하락.

이로 인해 일반 투자자들은 큰 손실을 입었고, 방시혁과 하이브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습니다.

 

 

정보 비공개 논란과 법적 문제

정보 공개의 의무

 

방 의장과 PEF 간의 계약은 금융감독원과 한국거래소에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이는 상장 과정의 투명성 문제를 야기했습니다.

  • 금융감독원: 주주 간 계약이 공모 투자자에게 중요한 정보라면 공개 의무가 있다는 입장.
  • 하이브 측 주장: 계약이 "일반 주주에게 재산상 손해를 주지 않는다"고 판단해 공개하지 않았다고 해명.

현재 금융 당국은 이 계약이 법적 제재 대상인지 검토 중에 있습니다.

 

 

방시혁과 하이브의 과제

신뢰 회복과 투명성 강화

 

이번 사건은 하이브와 방시혁 의장이 대중과 투자자들에게 투명성을 확보할 필요성을 부각시켰습니다.

  • 책임 있는 경영: 방 의장은 사건의 전말에 대해 명확히 해명하고 책임 있는 리더십을 보여야 합니다.
  • 투명성 제고: 향후 경영 과정에서 투자자와의 신뢰를 쌓기 위해 정보 공개를 강화해야 합니다.

 

 

결론: K-POP 산업의 성장과 투명성

이번 사건은 하이브와 방시혁 의장이 이룩한 K-POP 산업의 성공 뒤에 존재하는 복잡한 경영 현실을 보여줍니다. 이 논란은 단순히 한 기업의 문제를 넘어, 한국 엔터테인먼트 산업 전반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향상하는 계기가 될 수 있길 바랍니다.

 


 

방시혁 상장 당시 4000억 벌었다[채널A NEWS 제공]

 

 

10조 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의 의미, 삼성전자 주가

최근 삼성전자가 7년 만에 자사주 매입을 발표하며 주식 시장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자사주 매입은 기업이 자사의 주식을 사들여 시장에서 회수하는 행위로, 이는 주식 시장과 투자자에

pongdangpapa.tistory.com

 

 

삼성전자 네이버 반등 시작, 상반된 임원들의 주식 거래

삼성전자와 네이버는 최근 반등세를 보이면서도 임원들의 상반된 주식 거래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대규모 자사주 매입과 임원들의 자사주 매수 행보로 주가 상승의 기대감을 높이

pongdangpapa.tistory.com

 

 

 

한국 금융시장 동향 및 경제 영향 분석

최근 한국 금융시장은 주식, 외환, 채권 시장 등 다양한 부문에서 급변하고 있습니다. 미국 금리 인상과 같은 글로벌 금융 환경의 변화는 국내 경제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에 따라 시장

pongdangpapa.tistory.com

 

반응형